논문심사/투고 규정
논문심사규정
논문투고규정
논문심사규정
질적연구학회 회칙 제4조 3항에 따라 질적연구학회지에 투고된 논문의 심사를 위하여 본 규정을 둔다.
논문의 심사 및 채택은 본 규정에 따른다.
논문은 질적연구와 관련된 범위내의 원저 및 종설에 한하여 심사하며, 석사 및 박사학위논문은 학위논문임을 명시하여야 하며 학위수여자가 제1저자가 된다.
투고자격과 투고요령에 부합되지 않는 원고는 접수하지 않는다.
논문은 전문가 심사(peer review) 과정을 통해 심사하며, 논문 1편당 심사위원은 3인으로 하며 심사위원은
편집위원회에서
위촉한다
가. 심사위원 선정 시 세부 전공영역, 연구방법을 고려한다.
나. 공정한 심사를 위해서 투고자와 동일 기관 소속의 심사자를 가급적 배제하도록 한다.
논문은 질적 연구, 종설, 혼합방법 연구(질적 유도의 혼합방법), 질적 메타분석에 따른 평가서 기준 양식에 의거하여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http://www.qualitative.or.kr)에서 심사한다.
심사결과는 심사총평 및 심사평가 세부 내용으로 작성하고 게재가능, 수정후게재, 수정후재심 및 게재불가로
판정한다.
가. ‘게재가능’으로 판정된 논문은 수정 없이 채택한다.
나. ‘수정후게재’로 판정된 논문은 심사위원이 지적한 사항을 저자가 수정한 후 심사위원이나 혹은 편집위원이 이를
확인하고
채택한다.
다. ‘수정후재심’으로 판정된 논문은 저자의 수정 후 재심을 요구한 심사자의 재심 후에 채택여부를
결정한다.
라.‘게재불가’의 판정기준은 논문의 내용이 다음 중 어느 한 항에 해당되는 것으로 인정될
경우이다.
(1) 연구주제가 독창적이지 않거나 학문적 의의가 결여된 경우
(2) 기 발표된 타인의 연구의 일부 내용을 표절한 경우
(3) 연구결과의 신뢰성이나 타당성이 결여된 경우
(4) 대폭적인 수정을 하여도 게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심사 결과에서 ‘매우 부족하다’로 평가된 항목이 30% 이상인 경우
(6) 본 학회지의 윤리규정 및 기타의 연구윤리를 위반한 경우
심사위원 중 2명이 ‘게재가능’, ‘수정후게재’ 또는 ‘수정후재심’으로 판정을, 다른 1명이 ‘게재불가’로 판정되었을 경우 편집위원회에서 이를 심의하여 채택여부를 결정하되 관련 심사위원을 참석시킬 수 있다.
심사내용은 저자 이외의 사람에게 공표하지 아니한다.
심사결과와 관계없이 논문이 학회지 게재에 적합하지 않다고 편집위원회가 판단할 경우에는 이를 채택하지 않는다.
심사위원은 2주일 이내에 위촉받은 원고를 투고규정을 참조하여 심사하고, 심사결과를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에 입력해야 한다.
심사 시 심사위원 간의 상호 의견교환이 필요하다면 편집위원장에게 연락한다.
투고자는 심사결과에 따라 각 심사위원이 지적한 사항에 대해 수정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수정표는 심사내용과 수정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수정논문 앞장에 포함시키며, 수정된 내용은 본문에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투고자가 수정된 원고를 2주 이내에 제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게재를 다음 호로 연기하거나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최종 수정논문이 제출되면 편집위원장에 의해 선임된 편집위원이 충실히 수정하였는지의 여부를 심의한다. 심사위원의 지적사항에 대한 수정이 미비한 경우, 추가수정이 필요한 경우, 투고규정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게재를 보류하고 저자에게 재수정을 요청한다.
편집위원이 해당논문에 대한 심의를 마치면 편집위원장이 논문게재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부칙
이 규정은 2008년 7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0년 12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2년 6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3년 8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4년 3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7년 6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7년 6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8년 3월부터 시행한다.
발간 목적 및 간기
TOP질적연구(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이하 학회지)는 질적연구학회(이하 학회)의 공식 학술지로서 간호학, 의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교육학 등 이론, 실무,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질적연구와 관련된 창의적인 연구를 게재하며, 논문은 출판위원회의 결정에 의하여 게재할 수 있다.
학회지는 연 2회(5월 31일, 11월 30일) 에 발간한다.
저작권
TOP저자는 논문에 기여한 자로서 다음의 구체적인 자격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1) 연구의 개념, 설계, 자료수집 또는 분석, 결과 해석에 실질적으로 기여,
2) 논문 초안을 작성하거나 학문적으로 중요한 내용에 대한 비판적 수정,
3) 논문을 출판하기 전 최종본에 관한 확인,
4) 연구의 진실성에 관한 문제해결 및 연구의 모든 부분에 공적인 책임을 지는 것에
동의.
연구비 지원, 자료수집 또는 논문지도만으로는 저자가 될 수 없으며, 이러한 기여자는 감사의 글에 기술해야 한다.
저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ICMJ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가이드라인을 참조한다.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클릭시 해당 가이드라인으로 바로 이동됩니다.
원고 제출
TOP논문의 종류
본 학회지에 게재 가능한 논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질적 연구
2) 질적 유도의 혼합방법 연구, 질적 메타연구
3) 종설
본 학회의 회원은 논문을 투고할 수 있으며, 비회원은 다음의 경우에 투고할 수 있다. 제1저자와 교신저자는 본 학회
회원이어야
한다.
1) 본 학회 회원과 공동연구를 하였을 때
2) 본 학회 이사의 추천을 받았을 때
석, 박사학위논문의 경우 반드시 학위논문임을 명시하여야 하며, 학위논문의 제1저자는 학위수여자여야 한다. 학위논문의 경우는 학위수여자 외에 지도교수 1인에 한하여 공동 혹은 교신저자로 허용한다.
본 투고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원고는 접수하지 않는다.
원고는 온라인으로 제출한다.
1) 질적연구학회(http://www.qulaitative.or.kr)에 접속하여
논문을 투고한다. 원고를 투고할 때 투고 전
점검사항을 확인한다.
2) 원고투고 시 온라인투고시스템에 제시된 겉표지 양식에 의해 연구자의 소속과 직위를 정확하게
표시한다.
3)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한하여 저작권 이양동의서를 학회에 팩스나 이메일로 제출하여야
한다.
원고 작성
TOP일반 원고
원고는 맞춤법에 맞게 한글로 작성하고, 초록은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원고는 영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표나 그림을 포함한 총 페이지 수가 30페이지 이하여야 한다. 30페이지가 넘는 원고는 접수하지 아니한다.
원고는 A4 용지에 한글 또는 MS Word로 작성하고, 여백 주기는 위쪽 30mm, 아래쪽 25mm, 왼쪽 25mm, 오른쪽 25mm로 주며, 서체는 신명조, 글자크기는 10포인트, 줄 간격은 200%로 작성한다.
학술용어는 각 전공분야의 학술용어에 준용한다.
영문약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처음 사용할 때 단어 전체를 표기하고 괄호 안에 약어를 제시한다. 단, 논문제목에는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표준약어와 단위는 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의 Publication Manual 제6판(2009)과 APA양식 포켓가이드(2012)를 참고로 사용한다.
괄호( )를 사용할 때의 띄어쓰기는 괄호( )앞에 영문이나 숫자가 올 때는 띄어 쓰고, 국문이 올 때는 붙여서 쓴다. 괄호( ) 다음에 오는 조사는 붙여서 쓴다.
논문에서 사용하는 연구 도구는 도구 개발자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계 및 장비의 경우 괄호( )안에 모델명, 제조회사, 도시(주), 국적을 쓴다. 상품명을 뜻하는 ™, ® 등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쓰지 않는다.
원고의 구성
원고는 겉표지, 제목, 영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표, 그림의 순으로 구성하며, 각각은 별도의 페이지로 시작한다.
겉표지
: 본문과 분리하여 별도의 파일로 작성하며, 자세한 작성요령은 <부록 1>을 참조한다
영문초록
: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을 구분하여 줄을 바꾸지 않고
연결하여 200단어
이내(제목과 저자명 제외)로 기술한다. 원고의 내용에 부합하는 영문 주요어(Key Words) 5개 이내를 영문초록 다음에 첨부하며,
MeSH
(www.nlm.nih.gov/mesh/MBrowser.html)에 등재된 용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문
1)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제언 포함)의 순으로 구성한다. 연구에 따라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2)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을
포함한다.
3) 연구방법에서는 연구설계, 연구참여자, 자료수집, 윤리적 고려, 자료분석, 엄격성 등을 순서대로
소제목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연구방법은 구체적이면서도 자세히 기술하여 재현이 가능하도록 하되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인 경우에는 참고문헌만을 제시하며,
새로운 방법이거나
기존의 방법을 변형한 경우에는 상세히 기술한다.
- 성과 젠더 및 다양성 고려사항
저자는 연구참여자의 생물학적 속성인 성(sex)과 사회문화적 속성인 젠더(gender)를 혼동하지 않고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며, 성과 젠더를 결정한 방법을 기술해야 한다. 저자는 제목과 영문초록에 연구에 적용된 성을 명확하게 표시하고, 성과 젠더의 차이가
예상된다면 서론과
연구설계에서 설명하고, 성과 젠더로 구분하여 자료를 제시하고 각각의 결과를 기술하며, 성과 젠더 분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는 논의에서
다루어야 한다. 그 밖에
연구와 관련된 다양성(예: 사회경제적 지위, 인종, 민족, 언어, 국적, 종교, 지리, 능력, 연령, 문화)을 고려한 근거 또는 제한점을
기술해야
한다.
4) 연구결과에서는 처리된 결과를 중심으로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기술하며 도표에 있는 모든 자료를 본문에서
중복하여 나열하지
말고 중요한 결과만 요약하여 적는다. 인용문은 APA Style 3.34에 의거하여 본문과 같은 폰트로, 블록인용은 새 줄로 시작하고
왼쪽 여백(1/2인치)
들여쓰기 하며, 블록 인용 전체의 따옴표는 생략한다.
예: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5)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및 이에 관련된 다른 자료와 선행연구 결과와 연관하여 해석한다.
연구결과의 내용을 중복
기술하지 않으며, 결과의 적용, 제한점, 제언 등을 기술한다.
6) 결론에서는 연구 방법이나 결과 등을 반복기술하지 않으며, 연구의 목적과 연관하여 최종 결론만을
간략히
기술한다.
표(Table), 그림(Figure), 사진(Picture)
표, 그림과 사진은 영문으로 작성하고 5개 이내를 원칙으로 하며, 표와 그림의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표, 그림과 사진은 각각 별도의 페이지에 배치한다.
표, 그림과 사진의 내용은 이해하기 쉽고 독자적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표 작성 원칙
1) 모든 선은 단선(single line)으로 하고, 종선(세로줄)은 긋지
않는다.
2)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에 위치하며, 중요한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
예: Table 1. Cultural Domains, Categories and
Attributes
3)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에 위치하며, 중요한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
4) 항목에 대한 설명은 각주에 넣고 제목에는 넣지 않는다. Table에 사용한 비표준 약어는 모두 표의
하단 각주에서
설명한다.
예: HR=heart rate; T=temperature.
5) 각주에는 기호를 써서 설명하며 기호는 다음 순서로 사용한다. 어깨표시( †, ‡, §, ∥, ¶,
#, ††)된 부분의
설명은 표의 좌 하단에 하고, 표에 사용된 약어의 풀이는 인용된 순서대로 좌 하단에 한다.
예: †Survival case; ‡Dead case.
6) 인적사항에서 성별은 M/F, 연령은 yr로 기록하고 연령, 체중, 신장의 평균치와 단위의 크기는
소수점 한 자리까지로
한다.
그림과 사진 작성 원칙
1) 그림 제목은 그림의 하단에 위치하며, 첫 자만 대문자로 한다.
예: Figure 1. Experience of nurses' interpersonal
conflict
2) 사진의 크기는 102×152mm(4×6 인치) 이상이어야 하고 부득이한 경우라도 203×254mm
(8×10 인치)를
넘지 않아야 한다.
3) 동일 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인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예:
Figure 1-A,
Figure 1-B).
4) 그래프에 쓰이는 symbol은 ●, ■, ▲, ◆, ○, □, △, ◇의 순서로
작성한다.
본문 내 문헌의 인용
문헌의 인용은 아래의 예를 참고하여 모두 영문으로 하되, 이 예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제6판(2009), APA양식 포켓가이드(2012)를 참고한다.
본문 내에서 다른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인용될 경우 알파벳 순으로 괄호 내에 “;”를 이용하여 배열한다.
예: 건강정보 추구(Chung, Gassert, & Kim, 2010; Wagner & Wagner,
2003)
본문에 문헌을 인용한 경우 성(family name)을 논문 발행년도와 함께 괄호 속에 표시한다.
[보기]
1) 저자가 1명 또는 2명인 경우는 본문 내에 인용될 때마다 모두를 표기한다.
예: Paek과 Choi (2003)는...
Cosgrove와 Riddle (2003)은....
2) 저자가 3인 이상 5인까지인 경우 첫 인용에는 모두의 성을 표기하고, 같은 문헌이 반복 인용될
때에는 성 뒤에 등,
연도를 표기한다.
예:Kim, Jung과 Han (2002)은 ... 첫 인용
Kim 등(2002)은 ...반복인용
Williams, Johnes와 Smith (1995)는 …첫 인용
Williams 등(1995)은 …반복인용
성과 연도를 ( )안에 표기할 경우 최종 저자 앞에는 “, &”로 표기한다. 단, 저자가 2명인 경우는
& 앞에 “,”를
찍지 않는다.
예: 월경 전 증상 호소(Kim, Nam, Oh, & Lee, 2003)
예: 노인 낙상(Cosgrove & Riddle, 2003)
(1)같은 성의 저자: 둘 이상의 논문이 같은 성을 가진 저자에 의해 같은 년도에 게재된 것이면 혼란을
막기 위해 성과 그의
이름의 첫 글자(initial)를 써준다.
예:Emotional stress (Barratt, J., 2004; Barratt, L.,
2005)
월경 전 증후군(Kim, H. W., 2006; Kim, J. E., 2006)
(2)복합인용
- 같은 저자의 복합인용은 연대순으로 하여 “,”로 띄어 쓰고, 저자명은 각 논문마다 반복하지
않는다.
예: 평가 논문(Kim, 2006, 2007)은
- 같은 해에 동일 저자에 의한 한편 이상의 논문은 년도를 기입 후 a, b, c 등으로 첨부하고
연도를 반복하지
않는다.
예: 국문논문인 경우: (Kim, 2004a, 2004b, 출판중-a,
출판중-b).
영문논문인 경우: (Price, 2004a, 2004b, in-press-a,
in-press-b).
3)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에는 처음부터 성과 등, 년도를 표기한다.
예: Kim, Choi와 Yun (2010)이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첫 인용, 재인용
모두.
한편, 성과 연도를 ( )안에 표기할 경우 제1저자 뒤에 et al. 을 붙인다.
예: 결과(Jung et al., 2011)에 따르면
제1저자의 성이 같고, 같은 연도에 게재된 경우 제2저자의 성까지 넣어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예: 우울(Kosslyn, Barrett, et al., 1996)
4) 저자가 단체인 경우 첫 인용에는 단체명과 연도를 표기하고, 그 다음에 반복 인용할 때는 단체명의
약어를
표기한다.
예: (National Institute Mental Health [NIMH],
1999)...
(NIMH, 1999)....반복인용
단체가 대학인 경우 매번 full name을 표기한다.
참고문헌 목록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참고문헌은 30개 이하로 하고 저자의 성에 따라 알파벳순으로 나열한다. 같은 저자에 의한 출판물은 연도순으로 나열한다.
참고문헌은 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제6판(2009)과 APA양식 포켓가이드(2012)에 따라 모두 영어로 표기한다. 잡지명, 책명, 학위논문 제목, 보고서명 및 잡지의 권(Volume)은 이탤릭체로 한다. 책인 경우 책명의 첫 자에만 대문자로 표기하며, 잡지인 경우는 단어마다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전체 잡지명을 쓴다.
저자가 6인 이상일 때에는 6명까지 모두 기입하고 나머지는 et al.로 표기한다.
예: Wolchik, S. A., West, S. G., Sandler, I. N., Tein, J.,
Coatsworth,
D., Lengua, L., et al. (2000)
주요 온라인 저널은 저작권 정보와 함께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디지털 학술정보의 용이한 활용, 검색의 효율성 도모, 인용 활성화를 위해 인용 마지막 부분에 DOI를 기재하고, DOI 기재 후 마침표를 찍지 않는다.
[보기]
1) 정기간행물
(1) 학술지: 모든 저자의 이름(last name, initial) (출판년도). 제목. 잡지명,
권(호),
시작페이지-마지막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호마다 새 페이지로 시작하는 잡지의 경우에는 호를 권 다음에 반드시 기입하고, 페이지가
연속되는 경우는 (호)를
삭제한다.
학술지에 논문이 출판된 경우
- 학술지에 논문이 출판된 경우
예:Cosgrove, L., & Riddle, B. (2003). Constructions of
femininity and
experiences of menstrual distress. Women's Health, 38(3),
37-58.
예:van Vugt, M., Hogan, R., & Kaiser, R. B. (2008).
Leadership,
followership, and evolution: Some lessons from the past. American
Psychologist, 63(3),
102-116. https://doi.org/10.1037/0003-066X.63.3.182
- 학술지에 논문이 출판 중에 있는 경우
예: Zuckerman, M., & Kieffer, S. C. (in press). Race
differences in
face-ism: Does facial prominence imply domin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Advance 온라인 출판인 경우 마지막에 다음과 같이 기재한다.
예: van Vugt, M., Hogan, R., & Kaiser, R. B. (2010).
Leadership,
followership, and evolution: Some lessons from the past. American
Psychologist, 65(3),
112-123. Advan-ced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xxxxxx
(2) 잡지기사
예:Duenwald, M. (2005, January). The psychology of facial
expressions.
Discover, 26, 16-17.
예:Borowitz, A. (2004, November 15). Pavlov's brother. The
New Yorker,
80, 63.
(3) 뉴스레터 기사
예:Frankline, J. (2004, December). It takes community:
Keep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available for at-risk students.
Education Update, 46(8), 4-5.
(4) 신문기사
예:Mayer, C. E. (2005, January 7). Group takes aim at junk-
food
marketing. The Washington Post, p. E2.
2) 저서
(1) 일반저서: 저자(출판년도). 제목(판). 출판도시: 출판사 이름. 순으로
한다.
예:Frey, P. D., Smart, M. J., & Walker, S. A. (2004).
Standards of
practice for teachers: A brief handbook. Larchmont, NY: Eye on
Education.
예:Lee, S. W., Kim, J. H., Lee, B. S., Lee, E. H., & Jung,
M. S.
(2000). Understanding of Nursing Theory. Seoul: Soomoonsa..
(2) 편집된 책
예:Munslow, A., & Rosenston, R. A. (Eds.). (2004).
Experiments in
rethinking history. New York: Routledge.
(3) 저자나 편집자명이 없는 경우
예: United Press International Stylebook: The authoritative
handbook
for writers, editors, and news directors (3rd ed.). (1992). Lincolnwood, IL:
National.
(4) 재판된 저서
예: Maag, J. W. (2004). Behavior management: Form
theoretical
implications to practical applications (2nd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예:McCoy, A. W. (2003). The politics of heroin: CIA
com-plicity in the
global drug trade-Afghanistan, Southeast Asia, Central America, Columbia
(Rev. ed.).
Chicago, IL: Lawrence Hall Learning.
(5) 백과사전, 사전
예: Sadie, S. (ed.). (1980).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6th ed., Vols. 1-20). London, England: Macmillan.
(6) 번역된 책
예: Laplace, P. S. (1951). A philosophical essay on
probabilities (F.
W. Truscott & F. L. Emory, Trans.). New York, NY: Dover. (Original work
published
1814)
3) 편집된 책 내의 논문 또는 Chapter: 저자 (출판년도). 제목. 편집자명, 책명(쪽수).
장소:
출판사.
예: McCabe, S. (2005). Psychopharmachology and other
biologic
treatments. In M. A. Boyd (Ed.), Psychiatric nursing:
Contemporary practice (pp. 124-138). Philadelphia, PA:
Lippincott-Williams and Wilkins.
4) 연구보고서: 저자(출판연도). 보고서 제목(보고서 번호). 출판도시: 보고서 제출기관명. 순으로
한다.
(1) 대학에서 발간된 보고서
예: Broadgurst, R. G., & Maller, R. A. (1991). Sex
offending and
recidivism (Tech. Rep. No.3). Nedlands: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Crime Research
Centre.
(2) 조직이나 기관에서 발간된 연구보고서
예: Employee Benefit Research Institute. (1992, February).
Sources of
health insur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nsured (Issue Brief No. 123).
Washington,
DC: Author.
예: Youn, B. S., Jung, W. J., Lee, H. S., Yoeun, H. C.,
Han, S. D., &
Park, J. H. (1996). Quality of life in Korean: Implication and polic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5) 학위논문: 저자(출판년도). 제목. 졸업학교, 지역.
(1) 박사학위논문
예:Killgore, L. (2004). Beyond the merit of test scores:
Gatekeeping in
elite college admiss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rown
University,
Providence, USA.
예: Choi, Y. J. (1998). A study of utilization of
alternative
complementary medicine by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석사학위논문
예:Hamilton, J. A. (1998). University women's experience
with and
perceptions of premenstrual syndr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indsor, Ontario, Canada.
예: Kwon, I. S. (2003). Effect of music therapy on pain,
discomfort and
depression for fracture patients in lower extrem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6) 이차 자료에서의 인용: 이차 자료는 일차 자료에서 인용되었음을 밝힌다. - Collier의 연구가
Staddon의
연구에서 인용되었다면, 참고문헌 목록에는 다음과 같이 쓴다.
예:Staddon, J. E. (2001). Adaptive dynamics: The
theoretical analysis
of behavior. Cambridg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 본문 내 인용에서는 일차 자료에서 인용됨(as cited in ~)이라고 분명히 밝혀야
한다.
예:Collier presented a somewhat unusual schema related to
the "feeding
strategies" of rats (as cited in Staddon, 2001).
- Lee의 연구가 Kim의 연구에서 인용되었다면, 참고문헌 목록에는 다음과 같이
쓴다.
예: Kim, S. N. (1999).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161-
173.
* 본문: Lee의 연구(Kim, 1999에 인용됨)에서는 ~
7) 학술회의나 심포지엄의 자료(proceedings)
(1) 출판된 심포지엄
예:Le Prohn, N. S. (Ed.). (2002). Assessing youth behavior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in family and children's services. In
Proceedings from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Roundtable. Washington, DC:
CWLA.
(2) 구두 발표자료(Oral Session)
예:Lankntree, C., & Briere, J. (1991, January). Early data
on the Trauma Symptom Checklist for Children (TSC-C).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rofessional Society on the Abuse of Children, San
Diage, CA.
(3) 포스터 발표자료(Poster Session)
예:Ruby, J., & Fulton, C. (1993, June). Beyond redlining:
Editing software that work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Scholarly Publishing, Washington, DC.
8) 홈페이지
(1) 저자가 기관인 경우
예:National wage data. (2004, April 20). Bureau of Labor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19, 2005, from
http://www.bls.gov/bls/blswage.htm#National
(2) 저자가 개인인 경우
예:Ray, O. (2004). How the mind hurts and heals the body.
American Psychologist, 59, 29-40. Retrieved January 12, 2005,
from
http://www.apa.org/journals/amp/amp
59129.pdfl
9) 기타: E-mail, 개인접촉, 출판 중인 원고 및 초록
(1) FTP (File Transfer Protocol)로 잡지의 초록을 받을
경우
예:Mayer, A. S., & Bock, K. (1992). The tip-of-the-tongue
phenomenon: Blocking or partial activation? [On-line]. Memory & Cognition,
20, 715-726. Abstract from: DIALOG File: PsycINFO Item:
80-16351.
(2) FTP (File Transfer Protocol)로 잡지의 원고를 받을
경우
예: Central Vein Occlusion Study Group. (1993, October 2).
Central vein occlusion study of photocoagulation: Manual of operations [675
paragraphs]. Online Journal of Current Clinical Trials [Online serial].
Available: Doc. No.92.span>
논문 심사
TOP논문의 원고는 3인의 심사위원이 심사한다.
원고는 전문가 동료들에 의한 원고 심사 후 편집위원이 심의한다. 이때 편집위원은 심사위원의 지적사항에 대한 수정이 미비한 경우, 추가수정이 필요한 경우, 투고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재수정을 요청한다. 이후 편집위원장이 원고의 게재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심사결과에 따라 저자는 수정 보완을 해야 하며, 수정한 원고와 수정보완 사항 기록서를 온라인 논문접수 시스템으로 2주 내에 제출해야 한다. 심사위원의 지적에 따른 수정 사항을 항목별로 기술하고 원고에 수정한 부분을 표시하여야 한다.
게재료, 심사료, 필요 시 특수 조판대 및 추가 별책대는 저자가 부담한다.
논문 심사에 대한 세부사항은 별도의 심사규정을 따른다.
부칙
TOP이 규정은 2008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0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2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3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7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8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9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19년 12월 14일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20년 12월 11일부터 시행한다.